2014년 6월 29일 일요일

[이론] 네트워크 계층(OSI 7 Layer)에 대한 이해

이번 장에서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 회선(Circuit)과 패킷(Packet) 스위칭 기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
- OSI 참조모델은 컴퓨터 시스템간 통신하기위한 프레임워크
-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1978년에 네트워크 장비간 통신을 위해 제정하였습니다 .이 모델은 7개의 계층(Layer)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계층마다 addressing, flow control, error control, encapsulation, message transfer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OSI 7 Layer 모델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해 디자인된 표준이며, 네트워크의 기초 지식이 되고 있습니다.
- OSI 7 Layer는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Transport, Network, Data link, Physical 등 총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Layer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OSI 모델에서 가장 하위 계층으로 통신 채널간 비트 스트림(Bit Stream) 형태로 전송합니다. Signal Voltages, Bit Duration, Channel definition 등이 physical layer에 포함되어 있으며, RS232C, 토큰 링(Token Ring) 및 이더넷(Ethernet) 등이 그 예입니다.

Layer 2>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고 있으며,동기화, 에러검출, 흐름제어 등을 담당합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에러 검출(Error control)을 위해 CRC(Cycle  redundancy checks)을 진행하므로 주소에 대한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은 두개의 서브 레이어로 나뉩니다. - MAC(Media Access Control), LLC(Logical Link Control)

Layer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패킷이 최종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도록 적절한 경로를 결정해 주는 라우팅(Routing)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계층은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회선에 필요한 전송과 스위칭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Layer 4>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는 엔드투엔드 신뢰성있는 통신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에러를 바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Sequencing, Multiplexing, flow control 등을 담당합니다.

Layer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세션 계층(Session Layer)은 신뢰성있는 가상의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연결을 만들며, dialog discipline, data grouping, recovery of an interrupted session을 담당합니다.

Layer 6> 프레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
- 프레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은 텍스트와 데이터 신택스(Syntax)를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EBCDIC(Extended Binary-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와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가 그 예입니다.

Layer 7>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이 그 예입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마케팅(Marketing) 절차


마케팅(Marketing) 수행을 위한 절차는 시장기회 분석, 마케팅전략 대상구분, 고객경험 분석, 마케팅 프로그래밍, 고객 상호작용, 마케팅 프로그램 평가 등 크게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시장 기회 분석
- 시장 기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스템에서 기회를 파악, 부족한 욕구 확인, 목표고객 확인, 경쟁우위 획득방안, 시장기회 매력도 평가 및 시장진출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겪습니다. 최종적으로 시장을 진출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업 전사 또는 사업단위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시장기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장에 대한 상황과 기회에 대해 명확히 판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2. 마케팅전략 대상구분
- 마케팅은 보통 단일 부서 업무라기 보다는 전사 또는 그룹 단위의 비전 및 수행방안과도 연관되므로 각 부서와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마케팅 전략 대상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3. 고객경험 분석
- 시장의 기회를 분석하고 나서는 마케팅을 통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의 경험에 대한 유형을 파악해야 합니다. 고객경험의 분석을 통해 높은 수준의 마케팅을 진행해 나갈 수 있습니다.

4. 마케팅 프로그램
- 마케팅 대상 고객에 대한 실제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로 다음 장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5. 고객 상호작용
- 마케팅의 유형에 따라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수단이 틀려지게 되며, 이를 좀더 어려운 말로 교환의 위치(locus of the exchange), 시장현장(face-to-face interaction), 시장공간(screen-to-face interaction)이라고 합니다. 특히, 사용자와 직접 대면하여 양방향(interaction)이 발생하는 환경(인터넷, TV, 모바일 등)에서는 고객 상호작용을 위한 설계가 성패를 아우르는 핵심이 될 수도 있습니다.

6. 마케팅 프로그램 평가
- 마케팅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단계로 고객관련 지표와 재무성과 등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요소에 반영해야 합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서비스(Service)에 대한 인식 변화

예전과는 달리 서비스(Service)는 물품을 구매하는 등의 행위로 따라오는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핵심적 가치를 전달하는 의미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The Four I's of Services)
- Intangibility: 무형
- Inconsistency: 지속적이지 않음
- Inseparability: 분리될 수 없음
- Inventory: 재고가 없음

산업관점에서 서비스는 기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이며, 경쟁력의 주요원인이 됩니다. 정부는 GDP 성장에서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신 성장동력으로 융합형 서비스산업 육성이 절실한 상황이며, 서비스 관련 인재육선을 위해 학교에서는 서비스 관련 경영교과 및 저널을 통해 학생들에게 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산업차원에서 서비스는 경제학중심이고, 기업차원에서 서비스는 경영학 및 공학중심(서비스 경영, 서비스 마케팅)이며, 학제적 차원에서 서비스는 다학제적 접근(서비스 사이언스, 서비스 공학)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전 경제학에서는 서비스를 부를 창출하지 못하는 비생산적 활동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당시 생산적 활동(Productive Labor)은 물건을 만들어 부를 창출하는 일은 주로 제조업이 담당했습니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의 창출에서 효용 창출 활동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클라크(Clark)는 산업을 1차(농업, 광업, 어업), 2차(제조업, 건설업), 3차(서비스업)으로 분류하였으며, 서비스 산업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현재 서비스 산업은 생산량 증가의 핵심이 되고 있으며, 높은 고용효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는 전통적인 생산라인 방식을 이용할 당시 제조업의 생산 시설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하고 시스템의 효율성과 품질의 일관성에 초점을 두었으며, 현재는 순수한 서비스 중심 설계 및 시스템의 효과성과 고객의 만족도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서비스 사이언스(Service Science)는 IBM을 중심으로 한 기업들이 주도하였으며, 새로운 학문(실무) 분야입니다.서비스 관련지식을 묶어서 서비스 사이언스(Service Science)라고 합니다. 서비스 사이언스는 주로 기업 차원의 문제를 다루는 반면에 서비스 혁신은 국가 및 산업차원의 생산적 제고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케이블 방송 인프라의 발전방향



케이블TV는 1995년 국내 도입된 이후 정부의 규제완화(1)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고, 국내 방송영상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도우며 뉴미디어의 핵심매체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지역생활 정보와 지방 의회 소식 등을 전하며 특화된 지역 미디어 역할까지 수행했습니다.
케이블 방송은 HFC(Hybrid Fiber Coaxial) 망 구축과 함께 시작했습니다. HFC는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혼합한 선로 기술을 뜻하며,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은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가까이에 있는 광단국(ONU)까지는 광케이블을 사용하고, 광단국으로부터 개별 가입자 단말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HFC망을 구축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1개 채널 당 6MHZ를 할당하고, 256QAM의 경우 전송채널을 통하여 약 38Mbps로 하향전송이 가능합니다.

HFC의 장점으로는 동축케이블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점과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다는 점입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별도의 접속과정이 필요 없이 인터넷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또한 HFC의 장점입니다. 더불어 Cell별 독립된 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입자 증가 및 서비스 구역 추가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망의 운용이 편리하다는 강력한 장점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HFC는 속도 불안정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각 Cell로 전송된 인터넷 신호를 해당 지역 가입자가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입자 수가 늘어날수록 속도가 저하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신규 Cell구성 혹은 Cell분할을 시도한다면 그에 따른 비용을 감수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몰려 트랙픽량이 많아지는 경우 고사양의 게임을 즐기기는 힘들며, 동축 구간의 옥외설치에 따른 환경적 변수의 위험까지 안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은 HFC 기술 고도화 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Cell분할을 통한 전송대역폭 확장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Cell 당 가입자 수를 감소시켜 잡음을 없애고 가입자당 대역폭을 넓힌다는 계획입니다.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스위치드 디지털 비디오(SDV; Switched Digital Video)란 기술로 주파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이는 시청자들이 특정 채널을 선택할 때마다 그 채널에 해당되는 방송 데이터만을 실제로 송출해주는 선택형 송출기술로 현재 주파수 대역폭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전송 메커니즘입니다. 국내에서는 최근 SK브로드밴드에서 세계 최초로 HFC망의 IPTV 서비스에 이를 적용하여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주파수의 추가 확보 없이 UHD급 채널 수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와 같이 국내 케이블 사업자들은 유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힘쓰는 반면, 미국의 케이블 사업자들은 유무선을 아우르는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미국 대형 케이블업체 5개사가 협력하여 미국 내 ‘CableWIFi’네트워크를 구축하여 WiFi존을 확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체 이동통신망 구축, MVNO, 그리고 WiFi 이 세가지 전략 중에 자체 이동통신망 구축을 포기하고 MVNO와 WiFi에 집중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는 각각의 개별 케이블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대응하여 많은 가입자를 우선적으로 모으고, 케이블 사업자가 제공하는 N스크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한편, 국내 케이블 시장도 방송망 구조의 변화를 추구해왔습니다. 가입자의 댁내까지 광 구간을 연결하는 FTTH(Fiber-to-the-Home) 기반 All-Optic 구조뿐만 아니라, Fiber Deeper, HFC/UTP 혼합 등 다양한 망 구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RF/IP 융합 전송 구조로 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는 RF기반 방송 스트림과 IP기반 데이터 스트림을 융합하여 단일 복합 전송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하는 형태로 양방향 미디어 혹은 IP망 접속에 기반하는 스마트 방송 서비스를 케이블 망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에는 단말 기반, 헤드엔드 기반, 가입자 근접형 기반 3가지 방식이 있고 최근에는 마지막 200~300m이내 동축 구간에서 케이블 융합 전송을 하고자 하는 가입자 근접형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 하나의 대안으로는 10G 케이블 방송망으로의 진화입니다. 하향 10Gbps, 상향 1Gbps로 전송이 가능한 고품질, 양방향 방송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로써 기존에 방송과 통신서비스를 주파수나 전송 장비의 측면에서 구분하여 제공했던 것과 달리, 10G 전송 인프라를 통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의 방송망입니다. 기존 5 ~ 864MHz였던 전송 대역은 5 ~ 1700MHz로 증가하고 최대 전송 가능 방송 콘텐츠 속도 또한 38.8Mbps에서 10Gbps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로써 10G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모든 서비스가 IP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케이블 All-IP서비스 구조가 실현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천문학적인 투자비용을 감수하며 자체 이동통신망을 구축하기 보다 기존 유선네트워크 망으로 갖는 강점에 더불어 점차적인 기술혁신으로 케이블 All-IP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필요합니다. 케이블 사업자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인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지역별 인프라가 확보되어 있는 케이블 사업자들을 인수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 사업자는 IPTV 혹은 OTT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는 소비자를 잡고 새로운 소비층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광대역 고효율 전송 기술에 집중하여 로열티 높은 유저확보에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1)종합유선방송법 개정(1998.12) – 전송망사업 중단 및 경기침체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종합유성방송의 활성화를 위해 소유제한, 겸영제한(유선방송국, PP, 전송망사업자간 상호겸영) 등 규제를 완화하고 자체 전송선로 시설 설치를 허용.

By Unknown with No comments

훌루(Hulu)와 애플(Apple)을 능가하는 아마존(Amazon)의 스트리밍 트래픽

비디오 딜리버리 업체인 Quilt에 따르면 아마존(Amazon)의 비디오 스트리밍은 5위에서 3위로 순위가 변경되었으며, 이는 훌루(Hulu)와 애플(Apple)을 능가하는 수치입니다. 유투브(YouTube)와 넷플릭스(Netflix)만이 아마존(Amazon)의 온라인 스트리밍보다 트래픽이 많은 상황입니다.

2014년 3월 Qwilt에 측정된 미국내 아마존의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은 12개월전보다 94%증가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내 같은 기간동안 2013년대비 2014년의 경우 300%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넷플릭스(Netflix)가 전체 비디오 트래픽의 57.5%, 유투브(Youtube)가 16.9%인 반면 아마존(Amazon)은 3%에 머물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디지털 비디오와 음악을 담당하고 있는 부사장인 Bill Carr은, "우리는 프리미엄 회원을 위해 수억달러를 TV 쇼에 투자하고 있으며, 그것이 성과로 나오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주 아마존은 Fire TV를 선보였며 이 박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넷플릭스(Netflix), 프리미엄 비디오, 훌루 플러스(Hulu plux), WatchESPN, Showtime 등을 값싼 가격으로 접속하여 볼 수 있습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셋톱박스 런칭



구글(Google)은 6/25일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셋톱박스를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로쿠(Roku), 아마존 파이어 TV(Amazon Fire TV)와 애플TV(Apple TV)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새로운 디바이스는 다른 회사의 브랜드를 달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화, 게임 및 TV에 특화된 서비스를 위해 디자인된 안드로이드 TV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구글 셋톱박스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폰 또는 스마트 태블릿으로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도 허용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구글(Google)은 지금까지 크롬캐스트(Chromecast) 동글을 제외하고는 한번도 TV 시장에서 성공한 적이 없습니다. 구글은 초창기 소니, 삼성, LG, Visio 등과 TV 세트를 협력하여 진행했지만, 컨텐츠 부족으로 인해 구글TV(Google TV)은 실패하였습니다. 구글은 모토로라를 인수하여 셋톱박스 시장에 진출했지만 결국 2012년에 아리스(Arris)에 2.35 Billion 달러에 매각하였습니다.

구글(Google)은 작년에 크롬캐스트를 런칭하였으며, 현재까지 성공한 사례로 뽑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공의 기반은 저렴한 가격과 단순성에 있습니다. 구글은 셋톱박스 디바이스를 위한 컨텐츠를 강화하여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미국내 젊은층 대다수 TV시청을 위한 태블릿 사용

미국내 젋은층의 경우 태블릿을 통해 TV시청을 대다수가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NPD의 "Connected TV App Discovery Report"에 따르면18~34세의 태블릿 사용자 중에 56%가 TV시청 용도로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체 태블릿 사용자 범주에서는 41%가 TV시청을 하고 있습니다.

TV와 연관된 시청행태는 시청프로그램 검색(34%), TV프로그램과 연관된 소셜네트워킹(31%), 프로그램과 연관된 정보 습득(30%) 등이 있습니다. 18~34세의 태블릿 이용자는 미래에 TV와 컴패니온 디바이스의 결합은 필수이며, 소셜미디어가 가장 중요한 견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