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IT STRATEG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T STRATEGY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6월 29일 일요일

케이블 방송 인프라의 발전방향



케이블TV는 1995년 국내 도입된 이후 정부의 규제완화(1)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고, 국내 방송영상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도우며 뉴미디어의 핵심매체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지역생활 정보와 지방 의회 소식 등을 전하며 특화된 지역 미디어 역할까지 수행했습니다.
케이블 방송은 HFC(Hybrid Fiber Coaxial) 망 구축과 함께 시작했습니다. HFC는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혼합한 선로 기술을 뜻하며,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은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가까이에 있는 광단국(ONU)까지는 광케이블을 사용하고, 광단국으로부터 개별 가입자 단말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HFC망을 구축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1개 채널 당 6MHZ를 할당하고, 256QAM의 경우 전송채널을 통하여 약 38Mbps로 하향전송이 가능합니다.

HFC의 장점으로는 동축케이블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점과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다는 점입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별도의 접속과정이 필요 없이 인터넷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또한 HFC의 장점입니다. 더불어 Cell별 독립된 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입자 증가 및 서비스 구역 추가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망의 운용이 편리하다는 강력한 장점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HFC는 속도 불안정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각 Cell로 전송된 인터넷 신호를 해당 지역 가입자가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입자 수가 늘어날수록 속도가 저하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신규 Cell구성 혹은 Cell분할을 시도한다면 그에 따른 비용을 감수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몰려 트랙픽량이 많아지는 경우 고사양의 게임을 즐기기는 힘들며, 동축 구간의 옥외설치에 따른 환경적 변수의 위험까지 안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은 HFC 기술 고도화 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Cell분할을 통한 전송대역폭 확장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Cell 당 가입자 수를 감소시켜 잡음을 없애고 가입자당 대역폭을 넓힌다는 계획입니다.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스위치드 디지털 비디오(SDV; Switched Digital Video)란 기술로 주파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이는 시청자들이 특정 채널을 선택할 때마다 그 채널에 해당되는 방송 데이터만을 실제로 송출해주는 선택형 송출기술로 현재 주파수 대역폭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전송 메커니즘입니다. 국내에서는 최근 SK브로드밴드에서 세계 최초로 HFC망의 IPTV 서비스에 이를 적용하여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주파수의 추가 확보 없이 UHD급 채널 수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와 같이 국내 케이블 사업자들은 유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힘쓰는 반면, 미국의 케이블 사업자들은 유무선을 아우르는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미국 대형 케이블업체 5개사가 협력하여 미국 내 ‘CableWIFi’네트워크를 구축하여 WiFi존을 확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체 이동통신망 구축, MVNO, 그리고 WiFi 이 세가지 전략 중에 자체 이동통신망 구축을 포기하고 MVNO와 WiFi에 집중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는 각각의 개별 케이블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대응하여 많은 가입자를 우선적으로 모으고, 케이블 사업자가 제공하는 N스크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한편, 국내 케이블 시장도 방송망 구조의 변화를 추구해왔습니다. 가입자의 댁내까지 광 구간을 연결하는 FTTH(Fiber-to-the-Home) 기반 All-Optic 구조뿐만 아니라, Fiber Deeper, HFC/UTP 혼합 등 다양한 망 구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RF/IP 융합 전송 구조로 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는 RF기반 방송 스트림과 IP기반 데이터 스트림을 융합하여 단일 복합 전송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하는 형태로 양방향 미디어 혹은 IP망 접속에 기반하는 스마트 방송 서비스를 케이블 망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에는 단말 기반, 헤드엔드 기반, 가입자 근접형 기반 3가지 방식이 있고 최근에는 마지막 200~300m이내 동축 구간에서 케이블 융합 전송을 하고자 하는 가입자 근접형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 하나의 대안으로는 10G 케이블 방송망으로의 진화입니다. 하향 10Gbps, 상향 1Gbps로 전송이 가능한 고품질, 양방향 방송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로써 기존에 방송과 통신서비스를 주파수나 전송 장비의 측면에서 구분하여 제공했던 것과 달리, 10G 전송 인프라를 통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의 방송망입니다. 기존 5 ~ 864MHz였던 전송 대역은 5 ~ 1700MHz로 증가하고 최대 전송 가능 방송 콘텐츠 속도 또한 38.8Mbps에서 10Gbps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로써 10G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모든 서비스가 IP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케이블 All-IP서비스 구조가 실현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천문학적인 투자비용을 감수하며 자체 이동통신망을 구축하기 보다 기존 유선네트워크 망으로 갖는 강점에 더불어 점차적인 기술혁신으로 케이블 All-IP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필요합니다. 케이블 사업자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인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지역별 인프라가 확보되어 있는 케이블 사업자들을 인수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 사업자는 IPTV 혹은 OTT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는 소비자를 잡고 새로운 소비층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광대역 고효율 전송 기술에 집중하여 로열티 높은 유저확보에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1)종합유선방송법 개정(1998.12) – 전송망사업 중단 및 경기침체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종합유성방송의 활성화를 위해 소유제한, 겸영제한(유선방송국, PP, 전송망사업자간 상호겸영) 등 규제를 완화하고 자체 전송선로 시설 설치를 허용.

By Unknown with No comments

구글의 모바일 광고 시장 공략

2013년 모바일 광고 시장의 규모는 4,950억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대비 약 122% 상승한 수치로 광고 산업에서 가장 높은 성장율을 보인 부문입니다. 모바일 기기의 폭발적인 보급과 모바일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모바일 광고 시장 역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입니다.

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의 다양한 광고 형태 중에 동영상 광고의 성장도 눈의 띕니다. 그것은 동영상 광고의 강력한 2가지 장점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동영상 광고는 광고를 시청한 만큼 과금하는 방식이기에 광고주에게 비용절감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유저의 관심여하에 상관없이 광고를 노출시키지만, 시청의 선택권을 줌으로써 광고의 긍정적인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동영상 광고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동영상 광고 업계에는 동영상 광고 플랫폼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2012년 동영상 광고 플랫폼, ‘True View(트루뷰)’를 선보인 구글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동영상 매체인 유튜브에 동영상 광고 플랫폼을 적용했습니다. 트루뷰는 유튜브에서 동영상 재생 전에 광고를 보여주는 형식으로, 유저가 원하지 않는 경우 5초가 지나고 광고를 선택적으로 끌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광고에 관심 갖는 유저에게만 광고를 노출하므로 실질적인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고, 해당 광고가 시청된 횟수로 비용이 청구되기 때문에 합리적인 광고비 산출을 도울 수 있습니다.

후발 주자인 국내 기업, 인크로스는 2013년 4월 구글 트루뷰를 벤치마킹한 다윈을 출시했습니다. 동영상 재생 전 15초 이상을 시청한 광고에 대해서만 광고비를 청구하는 비슷한 형태지만, 광고 시청 중에 관련 이벤트 참여, 통화, SNS 등 쌍방향 소통의 기능을 추가한 것이 차별 점입니다. 이전까지는 구글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동영상 광고 플랫폼을 소유한 기업이었기 때문에 동영상 광고 시장을 독점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크로스는 유튜브를 견제하는 국내 동영상 매체들의 힘을 얻고 있습니다. 벌써 14개 업체와 제휴를 맺었고, 광고료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기업 구글과의 경쟁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구글의 시장 전략 때문입니다. 구글은 웹 사이트의 광고 매출을 합한 온라인 광고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96%를 차지할 정도로 광고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입니다. 기업들의 광고 투자 비용은 경기 상황에 따라 큰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구글의 매출 또한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구글은 광고만을 수익 원으로 삼지 않고, 사업 다각화로 매출 경로를 확장시키려는 노력을 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는 서비스 유료화입니다. 구글 공동창업자인 래리 페이지가 “관리가 잘되고 있는 IT사업이 대단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장기적으로 큰 이익을 낼 수 있다.”라고 말했듯이 구글은 서비스들을 무료로 배포하고 유저를 확보하여 차후에 서비스의 점진적인 유료화로써 이익을 창출하려는 시장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유저는 한번 익숙해진 UX(User Experience)를 쉽게 바꾸지 않으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OS를 비롯하여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들을 유료화 이전에 견제할 수 있는 소스들이 필요합니다. 이런 면에서 국내 기업이 독자적인 플랫폼으로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구글과 경쟁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사실입니다.

하지만 모바일 광고 시장뿐만 아니라 구글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모든 서비스 분야에서 구글 플랫폼에 시장이 잠식당하지 않으려면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과 경쟁력 향상에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 하고, 정부 차원의 국내기업 지원과 시장독점 규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Cloud solution으로 인한 벤더 종속(Lock-in) 이슈 분석

수년 전부터 Cloud solution은 모든 IT 업체에 가장 큰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관점(Public, Private, hybrid), 서비스 모델 관점(SaaS, PaaS, IaaS) 등 다양한 파트의 솔루션이 마련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사업자의 수익 모델을 위한 Killer Service가 마련되지 않아 시장의 관심에 비하여 도입이 활성화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Cloud Solution의 경우 기업의 보안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슈가 제기되고 있지만 금번 기고에서는 Cloud Solution으로 인한 벤더 종속(Lock-in) 이슈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벤더에 종속(Lock-in) 된다는 이슈에 대해, Eagles, Hotel California는 "You can checkout anytime you like, But you can never leave."라고 이야기 하였으며, Boney M은 "One way ticket to the moon"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벤더의 종속성에 관해서는 크게 4가지 이슈가 있습니다.

  • 종속성(Lock-in): Cloud vendor를 교체 시 막대한 비용 이슈
  • 이동성(Portability):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툴 등 다른 Cloud solution으로 이동 시 발생
  • 상호 호환성(Interoperability): 다른 Cloud Solution 간의 호환성 이슈
  • 중립성(Federation) 다른 Cloud vendor 간에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

벤더의 종속성에 따른 고객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ortability + Interoperability + Federation = More choices => Lower costs & Innovative solutions

Cloud vendor가 제공하는 효율적인 구성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공급(cost effective and innovative) 관점에서는 종종 호한성에 대한 이슈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Cloud solution을 도입하려는 사업자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요?



Cloud solution을 도입하려는 사업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선택을 위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 Cloud solution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 교체 가능한 solution 도입대비 종합 투자비용 추산
  • 사업자의 전략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응
  • Cloud solution 공급자의 지속적인 공급 및 유지 능력

Salesforce, Windows Azure, Amazon web services 등은 이들이 제공하는 플랫폼과 서비스에 대한 Portability를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고객이 소유하는 data에 대한 portability만 제공합니다.

Portability 측면에서 Rightscale, VMForce, CloudFoundary, OpenStack, Open Source(Eucalyptus, Cloud.com)등과 같은 표준화된 Cloud solution을 고려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Open Source의 문제점이 각기 다른 Stack 표준화로 인해 하나의 제품군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Private Stack이 들어감에 따라 이를 위한 강력한 인증체계가 필요합니다. 또한 불필요한 표준 Stack을 제거하여 특정 사업자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만드는 것 또한 표준 플랫폼에 위배될 수가 있어, 결국 Core frame은 표준화 Stack을 이용하되, 각 사업자에 맞는 플랫폼 Customizing을 하는 형태가 현재로서는 최선의 선택이라 여겨집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구글(Google)의 방송시장 장악을 위한 전략(2/2)

지난 번에는 구글(Google)의 시장 전략 변화에 대하여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방송사업자의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채택이 현재 또는 향후 그들에게 어떤 Risk를 가져올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방송사업자가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채택하는 이유는 (1)구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수용, (2) Multi-Screen을 쉽게 구현, (3)고품질의 인기 Game 수용 (4) YouTube를 통한 부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1) 구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수용 측면에서 알아보면, 




  • 콘텐츠 유통(Google Play)와 방송 광고 수익 극대화(YouTube) 측면에서 방송사업자와 구글간 비즈니스 상충
  • Google은 방송사업자를 통해 Android TV 플랫폼을 확장하는 것이 1차 목표이며,
  • 자사의 하드웨어 플랫폼을 Retail Market에 제공
  • 향후 Google 정책을 방송사업자가 따르지 않을 경우 플랫폼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원 중단
  • 광고수익 기반으로 다양한 무료 컨텐츠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으로 레거시 방송시장 탈환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2) Multi-Screen을 쉽게 구현 측면에서 알아보면,

구글의 Android-based TV Platform의 목적은 'Google Service for TV' 플랫폼
Google Cast의 기능을 비롯하여 Google 솔루션에 Lock-in 될 가능성이 높음

(3) 고품질의 인기 Game 수용 측면에서 알아보면,



  • 고품질의 안드로이드 게임은 Legacy STB에 대한 서비스 불가
  • 고가의 셋톱박스 매입에 따른 사업자의 CAPEX 증대
  • Android 기반의 제한적인 게임 수용


(4) YouTube를 통한 부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알아보면,


  • YouTube는 저품질의 UCC로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프리미엄 컨텐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음
  • 국가 별 대규모의 컨텐츠 제작지원 및 미국 내 성과 가시화
  • YouTube의 컨텐츠는 부가 컨텐츠 서비스가 아닌 방송사업자의 경쟁적인 대체재임


구글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 국내 향 HTML5 TV App Store 활성화: 단 화려한 애니메이션 및 저사양의 리소스로 다양한 App을 개발할 수 있는 공통 환경 마련 필요
  • HTML5, Miracast, DLNA 등의 표준 스펙 기반의 플랫폼을 통한 Multi-Screen 구현
  • Cloud 기반의 UI를 통해 Legacy와 Smart Platform에 서비스 모두 수용
  • Cloud 기반의 게임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되, 다양한 게임 개발사가 참여 가능하도록 Cloud-based Game Platform에 대한 생태계 구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대응방안은 범 국가적인 정책과 아울러 방송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구글(Google)의 방송시장 장악을 위한 전략(1/2)

구글(Google)은 2010년 5월에 The Google TV Project를 공식 발표하였으며, 그 해 10월에는 Google-enabled Sony Internet TV Product lineup를 공개하였습니다. 2011년도 6월에는 Sage TV를 인수하였고, 10월에는 Google TV 2.0을 발표하였습니다. 2013년 1월에는 Google TV 3를 출시하였으며, 2013년 10월에 Google TV 명칭을 rebranding 하였습니다.

구글(Google)은 방송(TV)에서의 기본 전략은 Android-based TV Platform 판매를 통한 수익 극대화가 아닌 플랫폼 확산을 통한 광고수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초기에는 Internet 기반의 PC 및 Mobile의 광고에 집중하였으며, 현재는 방송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위해 디바이스 플랫폼(STB 등)에 Android platform을 확산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더이상 'Google TV'라는 Product name을 사용하지 않으며, 'Google Services for TV'라는 rebranding을 통해 Android platform을 이용하여 Google의 Service를 유통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구글은 Google Cast의 기능을 Android-based TV  Platform에 적용하고 Connected device를 구현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의 연동 구현을 위한 Android platform 업그레이드는 물론 Google Play와 YouTube 등 서비스 체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Android-based TV 플랫폼은 Chromecast와 Nexus TV 등 2개의 제품으로 시장공략을 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Google이 Android console를 중시하면서도 관련 업체를 방관하는 이유는 이들을 통한 TV서비스 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글은 Live Streaming과 Premium Contents가 없다는 점이 가장 큰 고민거리입니다. 이를 위해 Google의 YouTube는 '온라인 시대의 TV'로 포지셔닝 중에 있습니다.

Original Premium Contents Expansion Strategy

  • Original Premium Contents는 YouTube 등재를 위해 제작되는 독점 동영상이며, 일반 UCC에 비해 Quality가 높고 분량이 긴 프로페셔널 저작물을 의미함
  • Google은 미국용 Original Channel 100개 신설을 위해 1차 계약 시 1억 달러 제작비 지원
  • 또한, 해당 컨텐츠에 대한 홍보를 위해 2억 달러의 별도 예산을 추가 배정, 컨텐츠 고급화의 의지를 보임
  •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선직국에도 Original Channel 60개를 신설하고 3억 달러 지원할 계획

즉, YouTube의 'TV 따라잡기'는 컨텐츠 품질을 넘어 대중 미디어 플랫폼으로서의 경쟁 환경까지 차용하려는 본질적 변혁을 의미합니다.
Google의 YouTube는 Premium Contents 확보를 위해 5단계 전략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YouTube의 Premium Contents 확충 전략에 따라 실제로 미국 내에서는 1년 새 가시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과연 방송사업자가 생각하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도입에 따르는 혜택과 이로 인한 방송사업자의 Risk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