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IT TREND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T TREND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6월 29일 일요일

하둡(Hadoop)보다 100배나 빠른 아파치 스파크 공개

아파치 소프트웨어 파운데이션(Apache Software Foundation)은 "Super fast, Open Soure, large scale data processing and advanced analytics engine"이라고 불리는 아파치 스파크 1.0을 공개했습니다. 아파치는 스파크가 메모리에서 하둡보다 100배나 빨리 동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인텔의 Michael Greene은 "아파치 스파크는 IT산업에서 고성능의 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한 중요한 빅데이터 기술 솔루션이며, 나날히 성장하는 고객의 빠른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스파크의 타겟은 무엇일까요?

아파치 스파크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양방향 쿼리(Interactive queries)와 스트리밍 프로세싱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스파크는 하둡의 분산 파일 시스템, HBase, Cassandra, 하둡 스토리지 시스템 등과 완벽히 호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스파크는 SQL 쿼리, 스트리밍 데이터, 복잡합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파치 스파크 1.0의 배포 관리자인 Patrick Wendell은 오랜기간 안정화된 Spark의 Core API 뿐만 아니라 몇가지 신규 피처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스파크 1.0은 로컬 머신, Mesos, Yarn 또는 Dedicated Clouster에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한 통합된 툴을 제공합니다. 스파크에서 지원하는 Spark SQL을 지원합니다. 스파크의 스트리밍과 그래프 라이브러리 역시 중요한 업데이트 중 하나이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날이 체크할 수 있는 빌딩 툴(Building tool)을 제공합니다."

스파크에서 대한 자세한 기술적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s.berkeley.edu/~marmbrus/sparkdocs/_site/index.html

By Unknown with No comments

HTML5 활성화 무엇이 문제인가?(2/2)

지난 기고문에 이어 HTML5 활성화에 대한 이슈는 무엇일까요?

주로 HTML5에 대한 개발의 제약성 및 성능을 주로 이야기하지만, 이를 좀 더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개발자가 생각하는 HTML5를 도입하는 이유와 그렇지 못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HTML5를 도입하는 이유




  • HTML5 도입을 꺼리는 이유



대다수의 개발자는 HTML5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Performance를 꼽았습니다만, 하드웨어의 진화, JavaScript Compiler 개선 등 기술이 진보할 수록 이에 대한 이슈는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HTML5를 개발하기 위한 적절한 디버깅 및 프로파일링 툴이 제공되지 않아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리테일 마켓에서 사용자가 직접 구매하는 PC 또는 모바일의 경우 하드웨어의 진화가 매우 빠른반면,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경우 최소한의 리소스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두 상황은 매우 다릅니다.)

두번째로 하드웨어 API에 대한 접근이 어렵다는 점이 이슈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선 Google Play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하드웨어 API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API는 Network > Filesystem > Power Management 순입니다. 아래 도표는 W3C에서 제정하는 HTML5 표준 API에 대한 상황이며, WiFi와 Power management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하드웨어 API임에도 불구하고 표준 API에서 빠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다 많은 Native App을 HTML5 App으로 전향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 브라우저 벤더들이 Power management, WiFi 등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API를 지원할 수 있도록 압박 필요
  • Native JavaScript App 개발을 위한 Packaging을 제공하고 모든 플랫폼에서 지원
  • HTML5 개발자에 대한 주기적인 API 교육 수행
  • 디버깅 툴 셋 제공
  • 등이 필요합니다.


HTML5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개발자가 느끼는 현업에서의 문제점을 보다 세밀히 관찰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해야 하며, 리테일 마켓이 아닌 방송사업자와 같은 페쇄 시장에는 정부에서의 적극적인 표준화와 아울러 이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

HTML5 활성화 무엇이 문제인가?(1/2)

TTA에서 HTML5 스마트 플랫폼 표준화, 국내 케이블방송사업자의 HTML5 공동 앱스토어 추진 등 정부 및 각 방송사업자간 HTML5 표준화 및 활성화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정작 개발자 및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 기고에서는 HTML5에 대한 개요 및 동향과 아울러 HTML5를 활성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습니다.

HTML5란 "텍스트와 하이퍼링크만 표시하던 HTML이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하도록 진화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일반적으로 HTML5는 CSS3,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Javascript API 확장을 포함'입니다.
HTML5에 대한 개념 범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봤습니다.




HTML5는 고가용성을 지니고 있으나 특정 플랫폼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API 제공이 필요하며, Native와 Hybrid App에 대한 비교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Native App: 빠른 속도, 디바이스 제어, 플랫폼 별 개발
  • Hybrid App: 개발 용이, 멀티플랫폼, 디바이스 제어
  • HTML5 App: 개발 용이, 멀티플랫폼, 디바이스 제어 불가

최근 수년 동안 멀티미디어를 비롯한 확장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비표준 인터넷 웹 환경(ActiveX, Flash, 실버라이트 등)이 점차 해소되고 HTML5기반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기존 HTML에 비하여 HTML5에 대한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개방된 웹 상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를 누구나 브라우저로 접근할 수 있으므로, 애플(iOS), 및 구글(Android) 등 OS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국내 TTA는 특정 OS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TV 플랫폼에서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조성을 위해 2012년 2월부터 'HTML5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제정'에 착수하였습니다. TV에서 방송 비디오는 앱 실행과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재생되는 미디어이므로 앱이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인 연결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바인딩을 위해 HTML5 비디오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하였습니다. 그러나 셋톱박스라는 플랫폼을 직접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국내 방송사업자와는 달리, 글로벌 리테일 마켓을 대상으로 장사를 하는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가전사 입장에서는 단순히 국내 표준화 내용을 TV에 일괄 적용하는 데에는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내와 유사하게 유럽에서는 기존 방송망을 통한 방송 컨텐츠에 인터넷망을 통한 컨텐츠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방송서비스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2009년 독일과 프랑스 방송사를 중심으로 HbbTV라는 융합형 TV 기술 표준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독일과 프랑스를 비롯해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스페인, 스위스, 폴란드, 체코 등 유럽 국가에서 서비스 중이거나 준비 중에 있습니다. HbbTV가 수용하는 표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일본에서는 HybridCast라 하여 일본 NHK 기술연구소에서 IPTV Forum Japan 기술 규격을 바탕으로 개발한 HTML5 기반의 TV애플리케이션 실행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독립형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없이 언제든 실행 가능한 서비스로 사용자는 최신 뉴스나 SNS, 유용한 정보나 VOD 서비스 등을 TV 메뉴를 통해 실행할 수 있으며, NHK는 9월부터 도시바의 REGZA 수신기를 통해 하이브리드캐스트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HTML5는 단순성, 호환성, 독립성, 개방성, 이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강점을 제공하지만 방송플랫폼과 모바일에서의 HTML5의 확산은 더디게 진행되는 것일까요?

By Unknown with No comments

2014년 6월 28일 토요일

TV의 미래 및 발전방향



새로운 TV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TV와 미디어 산업은 빠른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의 증가는 물론 6년안에 80억명의 모바일 가입자와 15억명의 디지털TV 가입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P는 전세계적으로 미디어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10억명의 브로드밴드 가입자 확보 및 pay tv 시장은 460조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전망은 새로운 엔터테인먼트와 기기간의 연결성에 대한 새로운 영역의 확장이라는 근거를 기반으로 합니다가입자에게 보다 많은 선택과 좋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강화된 개인화를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IP Cloud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의 서비스로 인해 시장의 가치는 750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합니다.

에릭슨(Ericsson) TV 마케팅을 담당하는 Simon Frost이 주장하는 Media Vision 2020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
2020년까지 150억대의 영상 디바이스가 브로드밴드 IP망을 통해 연결되고 TV에 대한 소비패턴을 변화시킬 것임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신규 또는 기존의 지역에서 필수가 될 것임

2. 컨텐츠와 서비스의 번들은 궁극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임
고객은 단순함에 가치를 두고 이를 위한 통합결제 방식 제공

3. 모든 컨텐츠와 서비스는 OTT로 전송
모든 TV 서비스 공급자와 켄턴츠 제공자는 고객의 접점으로 OTT(over the top) 방식을 이용

4. 주문형 VOD는 라이브 채널과 동등한 자격
VOD 주문으로 인한 소비가 라이브 채널과 동등해 질 것임

5. 새로운 방식의 투자 창출
브로드밴드 망의 가속화에 따라 Connected device에 대한 잠재성이 강화되고소셜 에코시스템이 활성화 됨

6. 750조에 이르는 시장가치

이처럼 미래의 TV IP기반의 브로드밴드망이 가속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OTT서비스 화성화 및 및 컨텐츠와 서비스가 통합된 형태로 Connected device에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By Unknown with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