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에는 구글(Google)의 시장 전략 변화에 대하여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방송사업자의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채택이 현재 또는 향후 그들에게 어떤 Risk를 가져올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방송사업자가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채택하는 이유는 (1)구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수용, (2) Multi-Screen을 쉽게 구현, (3)고품질의 인기 Game 수용 (4) YouTube를 통한 부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1) 구글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수용 측면에서 알아보면,
- 콘텐츠 유통(Google Play)와 방송 광고 수익 극대화(YouTube) 측면에서 방송사업자와 구글간 비즈니스 상충
- Google은 방송사업자를 통해 Android TV 플랫폼을 확장하는 것이 1차 목표이며,
- 자사의 하드웨어 플랫폼을 Retail Market에 제공
- 향후 Google 정책을 방송사업자가 따르지 않을 경우 플랫폼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원 중단
- 광고수익 기반으로 다양한 무료 컨텐츠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으로 레거시 방송시장 탈환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2) Multi-Screen을 쉽게 구현 측면에서 알아보면,
구글의 Android-based TV Platform의 목적은 'Google Service for TV' 플랫폼
Google Cast의 기능을 비롯하여 Google 솔루션에 Lock-in 될 가능성이 높음
(3) 고품질의 인기 Game 수용 측면에서 알아보면,
- 고품질의 안드로이드 게임은 Legacy STB에 대한 서비스 불가
- 고가의 셋톱박스 매입에 따른 사업자의 CAPEX 증대
- Android 기반의 제한적인 게임 수용
(4) YouTube를 통한 부가 컨텐츠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알아보면,
- YouTube는 저품질의 UCC로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프리미엄 컨텐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음
- 국가 별 대규모의 컨텐츠 제작지원 및 미국 내 성과 가시화
- YouTube의 컨텐츠는 부가 컨텐츠 서비스가 아닌 방송사업자의 경쟁적인 대체재임
구글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 국내 향 HTML5 TV App Store 활성화: 단 화려한 애니메이션 및 저사양의 리소스로 다양한 App을 개발할 수 있는 공통 환경 마련 필요
- HTML5, Miracast, DLNA 등의 표준 스펙 기반의 플랫폼을 통한 Multi-Screen 구현
- Cloud 기반의 UI를 통해 Legacy와 Smart Platform에 서비스 모두 수용
- Cloud 기반의 게임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되, 다양한 게임 개발사가 참여 가능하도록 Cloud-based Game Platform에 대한 생태계 구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대응방안은 범 국가적인 정책과 아울러 방송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